2024년 내가 받을 수 있는 복지혜택은 뭐가 있을까 복지로 메인페이지를 살펴보았다.
우선 눈에 제일 먼저 들어온 것은 4개국의 국기와 안내언어.
정확히 무슨말이 쓰여있는지는 알 수 없다.
그리고 하단에 로테이션되는 배너 3개가 보인다.
보증금 월세 관계 없이 청년월세 특별지원 신청가능
거주요건 폐지하여 대장자 기준 확대 지원기간 한 사람당 최대 2년으로 연장.
청년월세에 관한 배너이다.
복지로 Talk 맞춤형급여안내 (복지멤버십)
복지멤버십에 관한 배너이다.
2023 나에게 힘이 되는 복지 서비스
2023 복지서비스 안내 책자
지금이 이제 봄을 넘어 여름이 될 거 같기도 한 계절인데 아직 2023년 책자에 관한 배너이다.
2024년 책자는 아직 안나온것일까?
책자를 받아보았는데 2024년에 바뀐 내용도 있을 거 같아서 책자만 보고 복지신청을 하면 안 될 거 같고 2024 내용을 확인해봐야 할 듯하다.
https://www.bokjiro.go.kr/ssis-tbu/twatxa/wlfarePr/selectWlfareContent.do
https://www.bokjiro.go.kr/ssis-tbu/twatxa/wlfarePr/selectWlfareContent.do
www.bokjiro.go.kr
항상 느끼는 것이만 내가 받을 수 있는 혜택을 찾는 것 그것부터 너무 힘들다.
그리고 받을 수 있을 것 같아서 주민센터에 가보면 안 된다고 한다 서류나 조건 부족으로.
다시 확인해서 서류 이거 되는 거 아니냐며 물어보면 가능할 거 같다고 한다.
즉, 너무 복잡하고 조건도 힘들고 그냥 받기가 힘들다. 세부사항도 자주 변경이 되고 항목도 많아 담당자도 다 기억하지 못하는데 뭔가 좋은 방법은 없는 것일까?
이게 문제가 뭐냐면 진짜 받아야 할 사람들은 못 받고 약삭빠르게 챙겨가는 사람들만 받게 돼서 그게 문제인듯하다.
정치인이라면 모든 혜택 다 받고 있겠지?
복지키워드 정리 2024.04.24
#서울시안심소득
#건강보험
#긴급복지지원제도
'정책 정리 > 복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부터 대학생 지원금 바로 알아볼게요 (0) | 2025.02.05 |
---|---|
27일 임시공휴일 지정 서민들은 더욱 슬퍼지네요 (0) | 2025.01.09 |
노령연금, 기초연금 차이점을 알아보고 최대한 받아보자. (1) | 2025.01.02 |
돈이 없어요? 걱정 하지 마세요 서울시 안심소득 아닌 서울시 디딤돌 소득 이 있습니다. (1) | 2024.12.26 |
건강보험료 밀려도 건강보험 받을 수 있다. (0) | 2024.05.11 |